2023년 개봉한 *바비(Barbie)*는 그레타 거윅 감독이 연출하고 마고 로비, 라이언 고슬링이 주연을 맡은 작품으로, 단순한 어린이용 인형 영화가 아닌 깊이 있는 메시지를 담은 영화입니다. 바비랜드에서 완벽한 삶을 살던 바비가 현실 세계로 떠나면서 자기 정체성과 여성의 삶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이 영화는, 화려한 비주얼과 유머 속에서도 페미니즘과 현대 사회에 대한 풍자를 강렬하게 담아냈습니다.
1. 바비랜드와 현실 세계: 이상과 현실의 충돌
영화는 바비들이 지배하는 ‘바비랜드’에서 시작됩니다. 이곳에서는 여성들이 대통령, 판사, 의사 등 모든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완벽한 세상이 유지됩니다. 바비들은 매일 즐겁게 춤을 추고, 외모에 대한 불안이나 사회적 억압 없이 자유로운 삶을 삽니다.
그러나 마고 로비가 연기하는 ‘전형적인 바비’는 어느 날 갑자기 이상한 변화를 겪기 시작합니다. 완벽했던 삶에서 균열이 생기고, 현실에 대한 의문이 들기 시작한 그녀는 그 원인을 찾기 위해 현실 세계로 떠납니다.
현실 세계에서 바비는 자신이 여성으로서 얼마나 다른 대우를 받는지를 깨닫게 됩니다. 바비랜드와는 달리, 현실에서는 여성이 여전히 차별과 편견에 시달리고 있으며, 여성의 외모와 역할에 대한 기대가 존재합니다. 반면, 켄(라이언 고슬링)은 현실 세계에서 남성들이 더 많은 권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바비랜드를 ‘켄랜드’로 바꾸려 합니다.
이 대조적인 설정은 영화가 현대 사회에서의 성별 불평등과 젠더 권력 구조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2. 바비의 성장과 자기 발견
바비는 처음에는 현실 세계에서 자신이 어떻게 여겨지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녀는 바비 인형이 여성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었다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일부 사람들에게 바비가 비현실적인 미의 기준을 강요하고 여성의 역할을 제한하는 존재로 여겨지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바비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녀는 ‘완벽한 바비’로 남아야 할지, 아니면 한 인간으로서 성장해야 할지 갈등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비는 자신이 단순한 인형이 아니라, 스스로 의미를 찾고 성장할 수 있는 존재임을 깨닫습니다.
이 장면들은 단순히 바비의 성장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현대 여성들이 겪는 자기 발견과 자아 찾기의 과정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사회가 정해놓은 여성의 역할과 기대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스스로 정의하려는 노력은 영화의 핵심 메시지 중 하나입니다.
3. 켄의 이야기: 남성성에 대한 풍자
바비뿐만 아니라, 켄 역시 중요한 성장 과정을 겪습니다. 바비랜드에서는 바비가 중심이고, 켄은 그저 바비의 ‘부속품’처럼 존재합니다.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 남성이 더 많은 권력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켄은 바비랜드를 ‘켄랜드’로 바꾸려 합니다.
켄은 남성성이 권력과 결부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자신을 인정받기 위해 마초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결국 그는 바비랜드를 장악하는 것이 자신을 진정으로 행복하게 만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이러한 설정은 단순한 코미디적 요소가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남성성에 대한 압박과 고정관념을 풍자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영화는 ‘남성도 여성도 모두 사회가 정한 틀 속에서 억압받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성별에 관계없이 진정한 자아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4.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
바비는 단순한 인형 영화가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이 직면한 문제들을 유머와 풍자를 통해 풀어낸 작품입니다. 영화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던집니다.
- 여성의 자기 결정권: 바비는 ‘완벽한 바비’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을 선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는 여성들이 사회적 기대를 넘어 스스로의 삶을 정의하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 성별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 켄의 변화는 남성도 사회가 정한 틀에 갇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남성과 여성 모두 고정된 성 역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자아 찾기의 중요성: 바비랜드의 바비들도, 현실 세계의 사람들도 모두 ‘완벽한 존재’가 아니라, 끊임없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존재임을 영화는 강조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영화가 단순한 상업적인 블록버스터를 넘어, 사회적 의미를 가진 작품으로 평가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결론]
바비는 단순한 인형 브랜드를 소재로 한 영화가 아니라, 현대 사회의 젠더 문제와 자아 찾기에 대한 깊은 철학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입니다. 마고 로비와 라이언 고슬링의 연기는 유쾌하면서도 의미 있는 감정을 전달하며, 그레타 거윅 감독의 연출은 화려한 비주얼 속에서도 강렬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냅니다.
이 영화를 본 후,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게 됩니다.
“나는 사회가 정한 틀 속에서 살고 있는가, 아니면 나만의 정체성을 찾고 있는가?”
그리고
“우리 사회는 정말로 모든 성별이 평등한가?”
바비는 단순한 오락 영화를 넘어, 이런 질문들을 던지며 현대 사회에 대한 고민을 유도하는 작품으로 남을 것입니다.